티스토리 뷰

식물을 키울 때 계란 껍질이나 바나나 껍질, 커피 찌꺼기 등을 거름처럼 주곤 하는데요. 그중 커피 찌꺼기는 식물에게 정말 좋은 비료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좋은 비료입니다. 커피 찌꺼기 속에 무기질과 단백질이 풍부하게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을 오래 보유해서 수분 조절도 돕고, 벌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해서 배양토로 탁월합니다. 그렇지만 퇴비로 사용할 때는, 즉 두엄더미에 버릴 때는 가급적 여과지 비율이 크지 않게 유지해야 합니다.

*두엄더미: 풀, 낙엽이나 동물의 배설물 따위를 썩혀서 만든 거름을 쌓은 더미입니다.

 

또 직접 토양에 뿌릴 때는 여과지를 제거한 커피 찌꺼기만 퇴비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많은 양을 뿌리면 오히려 배수를 방해하고 곰팡이 증식의 원인이 됩니다. 화분 위에 흙과 원두 찌꺼기가 섞여서 보일 만큼 얇게 펴두는 것이 좋습니다.

차 종류의 찌꺼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커피와 차의 찌꺼기는 다름 아닌 잘게 부수어진 식물성 물질로, 뜨거운 물을 한 차례 뒤집어썼을 뿐입니다. 이들은 사람이 먹는 음료로 제공되었으므로 토양이나 식물에 유해한 물질을 내놓지는 않습니다.

 

커피와 차의 찌꺼기는 토양 유기체를 끌어들이고, 이 유기체들은 곧장 분해 작업에 들어갑니다. 유기물 속에 들어 있는 영양성분들이 바깥으로 나오고 식물들은 이를 활용합니다. 커피의 경우 눈에 띄는 점은 질소 함량이 비교적 높다는 사실입니다. 커피콩을 볶는 과정에서 단백질이 대부분 파괴된 상태이지만 그래도 그 구성성분은 아직 남아 있습니다. 볶기 과정의 또 다른 결과는 휴믹(humic)산이 방출된다는 점입니다. 이 산은 토양에 가벼운 산화작용을 일으킵니다.

 

커피 찌꺼기를 직접 토양 안에 넣어줘도 됩니다. 커피 찌꺼기를 뿌린 다음 식물 주위를 갈퀴로 직접 긁어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커피는 이런 식으로 분해되어 좋은 퇴비가 됩니다. 날마다 커피를 우려 마신 후에 곧장 마당으로 달려가 필터를 털어낼 생각이 없다면 커피 찌꺼기를 작은 통에 모아두면 됩니다. 하지만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찌꺼기 덩어리가 너무 두툼하게 층이 지거나 습기가 차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곰팡이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밖에도 커피 찌꺼기를 저렴한 퇴비로 모으는 일은 다른 측면에서 생태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커피를 여과지에 담고 거기에 뜨거운 물을 부어 우려내야 한다면, 디자이너가 제작한 전자동 커피추출기에 일회용 패드형 커피나 환경에 극도로 유해한 알루미늄 캡슐을 끼워넣을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손으로 직접 물을 부어서 우려낸 커피가 더 맛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런 커피가 환경에까지 도움이 된다니, 맛 뿐만 아니라 또 하나의 장점을 발견한 것 같아서 좋습니다.

 

또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를 활용한 화분도 나왔습니다. 커피를 추출한 후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를 활용하여 화분을 제작하고 판매까지 하는 업체도 많습니다.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 등으로 소비되는 커피 원두 중 커피 추출에 사용되는 양은 단 0.2%에 불과하고, 나머지 99%가 생활폐기물로 버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커피 찌꺼기와 일반 수지를 혼합하여 사출하는 방식으로 화분을 탄생시킵니다.

스타벅스는 커피 찌꺼기 배양토를 활용해서 제작한 '커피박 화분 키트'를 소비자에게 나눠주기도 했으며, '맥카페'로 저가 커피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맥도날드도 커피 찌꺼기 재활용하는 것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맥도날드는 커피 찌꺼기를 후처리 과정을 거쳐서 가축 사료로 만들어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업계에선 특히 환경부에서 지난해 '순환자원 인정 절차 및 방법에 관한 고시'를 개정하여 커피 찌꺼기를 생활폐기물이 아니라 순환자원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를 도입하면서 재활용이 훨씬 수월해졌다고 합니다. 순환자원으로 인정받은 커피 찌꺼기는 폐기물 수집 및 운반 존용 차량이 아니라 일반 차량으로도 운반할 수 있습니다. 따로 허가 받거나 신고할 필요도 없습니다.

 

자연에서 온 커피 원두를 즐겁게 음용한 후 남은 부산물을 식물의 보금자리로 만들어 다시 자연 곁으로 돌려보낸다는게 너무 좋은 취지인 것 같습니다. 이렇게 커피 찌꺼기가 식물에게 좋은 비료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또 식물에 관한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댓글
공지사항